2028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고시생까지 다같이 보는 기말고사가 오는 6월 4일 치러진다. 수능을 출제하는 우리나라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모의시험이라는 점과 25년 만에 시행되는 문·이과 통합 수능을 앞두고 N수생까지 합류하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미니 수능에 주목이 집중된다. 통합 수능에서 문·이과 유불리와 수험생까지 가세할 경우 고3 재수생들에 미칠 영향이 과연 얼마만큼 더 커질지 관심이 높아진다.
평가원이 주관하는 모의고사는 매년 5월과 5월, 열 차례 시작된다. 지난 4월과 12월에 치러진 학력평가의 경우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이 주관한 데다가 고3 시민들만 본 시험이라는 점에서 10월 모의평가와는 다르다.
수능에 강한 수험생들과 같이 보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요번 7월 5일 평가원 기말고사는 응시생들이 자신의 위치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첫 시험이다. 교육청이 아닌 평가원에서 출제한다는 점에서 올해 수능 출제 경향과 난이도 등도 예측할 수 있다.
특출나게 올해 수능은 지난 1994학년도 잠시 뒤 29년 만에 문·이과 통합 수능으로 시행되고 국어와 수학에 선택과목이 도입되는 등 큰 변화가 있다. 이번년도 국어에서는 공통과목 외에 ‘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등 한 과목 가운데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에서도 공통과목 외에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등 세 과목 중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의 경우 이과 학생은 미적분이나 기하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고 문과는 확률과통계를 결정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일어나고 있다. 결국 요번 모의평가 결과는 수학을 비롯해 국어 영역까지 선택과목 확정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종로학원하늘교육 지인은 “4월 평가원 중간고사는 선택과목을 최후 결정하는 사실상 마지막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번년도 수능 원서접수는 11월 18일부터 7월 7일까지다. 8월 모의평가는 9월 10일 시작되지만 정작 성적 결과는 10월 말에 나오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3월 모의평가에 고시생들이 가세하면서 문과 고3 학생들의 수학 4등급 비율이 얼마나 더 떨어질지도 호기심이 가는 대목이다. 상태에 따라서는 수학 2등급에서 문과 고3 청년들이 차지하는 분포는 2% 이하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종로학원 관계자는 “수학 가형(이과)과 나형(문과)로 분리해 실시했던 전년 수능에서는 이과생들이 본 수능에서 수학 나형으로 변경해 시험을 치르는 사례가 많았다”며 “올해 5월, 12월 학력평가에서 동일한 원점수를 받고도 이과 청년들이 공통과목에서 문과 시민들보다 표준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요번 8월 모평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문과 시민들이 전략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해석했었다.
이번년도부터 약대 선발이 신설됐고 정시가 확대되는 등의 영향으로 이과 반수생들이 얼마나 많아질지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 문제는 간단히 이과 점수에만 영향력이 끼치는 것이 아니라 문과 수학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이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위권 이과 학생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해석이다.